1. MASW 탐사란?

-탄성파 탐사 (실체파+표면파) 중 표면파를 이용하여 지반을 탐사 하는 방법

 

1-D Survey: S파 속도를 깊이에 따라 나타내는 탐사 기법

2-D Survey: 1-D Survey를 연속적으로 이어 평면으로 만든 것

3-D Survey: 2-D Survey를 연속적으로 이어 입체로 만든 것

 

1) 탄성파(Sesmic wave)=실체파(Body wave)+표면파(Surface wave)

  

 

탄성파 에너지의 80%는 표면파이다.

과거(1990년 까지) 표면파를 모두 잡음이라 생각 했지만, MASW를 통해 표면파를 이용한 탐사를 이용하고 있다.

 

 

 

2) 탄성파 탐사와 GPR 탐사 심도

 

3) 능동적 탐사(active survey) vs 수동적 탐사(passive survey)

 

이론적으로 수동적 탐사 에너지가 능동적 탐사 에너지보다 크다.

 

수동적 탐사(passive survey)의 경우 에너지가 훨씬 크기 때문에 MASW 탐사를 했을 경우 저Hz까지 내려 갈수 있어, 탐사심도를 증가 시킬 수 있다.

 

 

 

 

4) Roadside Combined MASW Survey

 

-갓길이나 길 가운데를 따라 종렬로 지오폰(receiver)를 길게 늘여 뜨려 사용한다.

 

-기록을 시작하기 위해 sledge hammer를 사용한다.

 

-자료처리 직후 능동적 분산(active dispersion)의 나머지 부분(1~60)을 사용하기 위해 초기 부분(0~1)을 잘라낸다.

 

-저심도와 관련된 2-D velocity map을 생산하기위해 능동적 분산(active dispersion) 이미지로부터 능동 분산 곡선(active dispersion curves)을 발췌한다.

 

-같은 기록번호의 image data set을 결합함으로서 능동적 분산(active dispersion)과 수동적 분산(passive dispersion) 이미지를 결합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연장된 깊이(100m)2-D Vs(S-Velocity)를 생산하기 위해 분산곡선(M0's)을 발췌한다. 결합된 MASW 탐사 map의 전체의 정확도는 올라갈 것이다.

 

-50m 이상 탐사하기 위해선 수동적 탐사를 해야 한다.

 

 

5) MASW 최대 탐사 깊이

 

 

 

2. MASW-Data Acquisition

 

1) MASW 장비구성

 

Equipment

Most Common

Comments

Seismograph

24-channel (24-bit)

(most of today’s multichannel seismographs)

16-bit may be acceptable. A laptop computer is necessary to control seismograph. A rugged toughbook is preferred.

Power Source

A small car battery

A dry-cell battery can also be used for several hours of acquisition.

Receivers

4.5-Hz Geophones

Geophones of 10-Hz range may be acceptable for relatively shallow investigation (e.g., Zmax 20 m). A land streamer is strongly recommended for fastest acquisition.

Source

Sledge Hammer (8-lb)

Weight-drop can further increase investigation depth (Zmax).

Strike Plate

Aluminum plate (e.g., 1 ft x 1 ft size with 1/2-in thickness)

Softer plate (e.g., polyethylene) can improve energy at lower frequencies (therefore, Zmax).

Time Break Sensor

Hammer Switch

A separate geophone planted near the strike plate can also be used.

Triggering Cable

Hardwire

Radio triggering system can be used, but watch for time delay.

Seismic Cable

5-ft takeout spacing

Any range in 4-8 ft takeout spacing may be acceptable.

Possible Accessories

Trigger Extension Cable (e.g., 100 ft), Jumper Cable (e.g., 30 ft), Tape Measure (100 ft), Stake Flags, Black Tape, Ear Plugs, Gloves, Spray Paint, GPS, Safety Gears, etc.

 

 

 

2) Seismograph (Geoid)

 

보통 24채널이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3) Receivers (Geophones)

지오폰은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MASW탐사에서는 4.5Hz 지오폰이 가장 적당하다.

 

 

4) Land streamer

 

-Land streamer는 탐사의 속도를 증가 시키기 위해 개발된 지오폰(receiver) 장착 장치이다.

 

 

 

 

 

5) Seismic source

탄성파 탐사를 위해서 가장 좋은 source는 파워풀한 source 이다.

 

 

 

 

 

 

 

 

 

6) MASW 최적의 Offset 간격

 

offset이 너무 가깝거나 너무 멀면 안된다.

 

 

 

3. MASW Data Analysis

 

탐사를 하며 얻어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산곡선(Dispersion Curve, M0)를 구한 뒤 역산과정을 통해 S파 속도를 구해 Earth Model을 구할 수 있다.

 

 

보여 지는 그림은 20번의 탐사를 진행 한 것이다. 1번의 탐사가 하나의 1-D Vs profile을 구할 수 있고, 20번 탐사를 모으면 2-D Vs profiles을 구할 수 있다.

 

1) Why Multichannel?

 

멀티채널을 이용하는 이유는 멀티채널을 사용함으로서 분산 이미지를 명확하게 구할 수 있다.

 

 

 

 

 

 

 

2) Understanding Dispersion Imagae

 

 

Computational Artifacts (CA) -Energy trends radiating from the origin of the image space.

Side Lobe (SL) - Energy trend occurring right beside a major trend following the same trajectory.

Air Wave (AW) - Non-dispersive (i.e., horizontal line) energy trend occurring at the sound velocity (340 m/sec).

Fundamental Mode (M0) -Dispersive energy trend occurring at the lowest frequencies with lowest phase velocities.

Higher Modes (M1, M2, etc.) - Dispersion trends occurring at the higher frequencies with higher phase velocities than those of M0. The higher mode of the most significant energy is usually the first higher mode (M1).

 

 

 

3) 분산곡선과 S파 속도 모델

 

그림을 보면 진동수가 감소할수록 속도가 증가함을 볼 수 있다. A 모델은 5피트에서 1000ft/sec으로 5m의 값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Stiff Soil5m까지 있고 그 밑에 7000ft/sec 속도를 나타낸 결과 Hard Rock이 있다는 결론을 낼 수 있다.

 

BC 또한 같은 해석방법으로 층을 구분 지을 수 있다.

 

 

4. MASW-Applications

 

1) 1-D Shear-Velocity(Vs) Profile

 

 

 

 

 

 

2) MASW를 활용한 탐사 예

 

 

 

이 탐사는 2개의 Land Streamers를 이용한 탐사이다.

 

이 지역 지하에는 50년전 폐광이 된 수많은 터널들이 있다. 지반침하 현상이 계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었기 때문에 일부 도로 구간을 지반침하가 일어나도 함몰되지 않도록 다리형태로 도로를 건설 하였다.

 

2년 주기로 2개의 Land Streamer2개의 Geoid를 이용하여 48채널로 MASW 탐사를 하여 지층구조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있다.

 

 

 

 

 

 

 

 

 

이 탐사는 지반을 다지기 전과 후를 MASW를 통해 비교한 것이다.

 

 

 

 

 

이 탐사는 아스팔트를 재활용 하여 도로를 건설 할 때, MASW 탐사기법을 이용하여 도로의 상태를 탐사한 것이다.

 

 

12채널 4개의 라인 48채널을 이용하여 지하 0~3m 까지 노면의 상태를 탐사하였다.

 

 

아스팔트를 재활용 하기 위해서 4가지 공정을 하게 되는데, 공정과정 중 도로의 상태를 점검함으로서 공사가 잘 이루어지는지 확인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MASW 탐사 전에는 다음 그림과 같은 장비를 사용하며 각각의 공정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MASW장비를 이용하여, 확인을 했을 경우 각각의 공정의 상태를 확인하는데 저비용 고효율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시험자료 > 지구물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물리탐사 정리집  (0) 2016.12.05

WRITTEN BY
친절한지오씨

,

암석학: 1차 객관식 기출문제

구조지질학: 1차 객관식 기출문제

광상학: 1차 객관식 기출문제

탐사공학: 1차 객관식 기출문제

지질공학: 1차 객관식 기출문제

광상학: 1차 객관식 기출문제



WRITTEN BY
친절한지오씨

,

안녕하세요. 친절한 지오씨 입니다.


오늘 처음으로 블로그를 시작하였습니다.


오늘은 다운홀 탐사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고자 합니다.

경주에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였습니다.





앞으로 우리나라에 지진이 발생하면, 우리의 대처 방안은 무엇일까요?






우리나라에서는 건축물 내진 설계를 위해 지진파(전단파 측정)을 하고 있습니다.

하향식 탄성파 탐사(다운홀, Downhole Seismic survey)를 이용하여 지반분류를 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시험자료-지진에 가시면, 다운홀 탄성파 기법에 대해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



내진설계를 위해 일본 OYO 사에서는 탄성파 탐사 기기 McSIES와 다운홀 지오폰 BHP이 있습니다.


두둥!





제가 한번 열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다 건너 온 물건 입니다.








위 그림과 같이 하향식 탄성파 탐사를 할 수 있습니다.

OYO 사에서 나오는 다운홀 지오폰은 펌프로 공기로 주입하여, 

시추공에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 하고 있습니다.





구성품으로 탄성파 탐사기(McSEIS), 다운홀 지오폰(BHP), 

보정용 28 Hz 지오폰(GS-20DH 28 Hz, Land)

100 m 시추공 케이블, 트리거(Hammer switch w/ 3 m cable)

등으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시추공 케이블을 보면 10 cm, 50 cm, 1 m 간격으로 

오퍼레이터를 위해 표시가 되어 있군요~


이 장비가 우리나라 내진설계에 도움이 되길 기원하며,

이번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에는 이 장비의 소프트웨어와 작동방법에 대해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기대해주세요~













WRITTEN BY
친절한지오씨

,